[경쟁시장]
경쟁시장이란?
동일한 상품을 취급하는 수많은 공급자와 수요자로 구성되어 모든 사람이 가격수용자인 시장을 말하며 '완전경쟁시장'이라고도 부른다
경쟁시장의 특징
-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
- 공급자들이 공급하는 물건이 거의 동일하다
- 기업들이 자유롭게 진입하고 퇴출할 수 있다
경쟁시장 기업의 목표
이윤극대화를 추구
이윤(profit)
=총수입 - 총비용
총수입 (total revenue, TR)
수량에 가격을 곱한 값
TR= P x Q
총수입은 생산량(Q)에 비례함
개별 기업이 가격(P)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
평균수입 (average revenue, AR)
총 수입을 수량으로 나뉜것
AR = TR / Q
한계수입 (marginal revenue, MR)
한단위를 추가 판매함으로써 발생하는 총 수입의 변화
MR = n TR / n Q
경쟁시장 기업의 가격, 평균수입, 한계수입
평균수입 AR = P
한계수입 MR = P
이윤극대화의 간단한 예
이윤극대화
(총수입-총비용)이 최대인 생산량
한계수입(MR)과 한계비용(MC)을 비교
MR>MC : 생산량을 늘려야함
MR<MC: 생산량을 줄여야함
MR=MC: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
또한 P=MR=AR이므로 P=MC가 된다
한계비용과 가격과 일치하는 수량
조업중단 (Shutdown)
시장 상황이 악화되어 일시적으로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는 것이 덜 손해인 단기적 의사결정
생산을 중단해도 여전히 고정비용을 부담
퇴출 (exit)
시장을 떠나는 장기적 의사결정
비용부담 없음
[조업중단 조건 : 언제 중단할 것인가?]
(1) 총수입이 가변비용보다 작을 때 (TR<VC)
조업을 중단하면 모든 수입이 '0'
가변비용 지출없음, 고정비용은 계속 지출
총수입(TR0
(2)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낮을 때 (P<AVC)
평균수입은 그 재화의 가격 (AR=P)
따라서, 평균수입(AR)이 평균가변비용(AVC)보다 낮을 경우 조업 중단이 유리함
TR/Q < VC/Q -> AR(=P) < AVC
기업의 단기공급곡선
한계비용곡선 중에서 평균가변비용 곡선 위쪽에 있는 부분
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낮은 경우 P<AVC 기업은 조업을 중단하는 것이 유리하다
매몰비용(sunk cost)
- 지불되고 난 뒤 회수할 수 없는 비용
- 단기적으로 고정비용은 매물비용
-생산을 중단하더라도 고정비용은 회수 불가능
-생산량이 0 일 경우에도 고정비용은 부담해야함 - 매물비용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함
-단기공급곡선은 한계비용(MC)곡선의 윗부분
-고정비용은 공급량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
[사례]
텅 빈 식당과 비수기 미니 골프장
점심시간에 텅 빈 식당과 비수기 미니 골프장은 영업을 중단해야 할까요?
*고정비용: 고려대상 아님
- 단기적으로 매몰비용
- 임대료, 주방용기, 식탁, 접시, 식기 등
*가변비용: 고려대상
- 음식 재료비, 가스비 등
- 수입<가변비용: 조업중단
식탁이 대부분 비어 있어도 영업을 하는 것이 유리할 때도 있다.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킹통장 추천 시중에 파킹통장 혜택 총정리 (1) | 2022.09.21 |
---|---|
[경제학개론] 경제기본용어 거시경제 데이터 (0) | 2022.06.20 |
[경제학개론] 여러가지 비용 개념 (1) | 2022.04.27 |
[경제학개론] 생산비용 (2) | 2022.04.27 |
[빅데이터] 데이터 적재 아키텍처 (0) | 2022.04.20 |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