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시경제 데이터
○ 미시경제학 (microeconomics)
개별 소비자와 기업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이들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다루는 경제학의 한 분야
○ 거시경제학 (macroeconomics)
인플레이션, 실업, 경제성장 등 경제 전반에 관한 현상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
국내 총생산(GDP)의 개념
국내총생산(Gross Domestic Product, GDP)
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입니다.
기장가격을 기준으로 합하여 경제활동 지표를 도출, GDP를 총 지출로 파악합니다.
GDP 구성항목
Y = C + I + G + NX |
Y=GDP
C=소비 (consumption)
I=투자 (investment)
G=정부구입 (goverment purchases)
NX=순수출 (net exports)
실질GDP vs 명목GDP
명목 GDP(nominal GDP)
재화와 서비스 생산의 가치를 현재 가격으로 계산한 것
실질 GDP(real GDP)
재화와 서비스를 생산의 가치로 불변 가격으로 계산한 것
- 과거 특정 년도(기준년도)의 가격으로 환산
- 올해의 GDP를 과거의 가격으로 측정함으로써 경제전반의 재화/서비스 생산이 어떻게 변화왔는지 파악
- 실질 GDP의 변화의 생산량의 변화에 따른 것이 됨
GDP디플레이터 (GDP feflator)
-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지표
-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수치에 100을 곱한 것
- 기준 연도의 물가수준 대비 현재 물가수준을 측정
- 한 경제의 평균적인 물가 수준과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지표
GDP 디플레이터 = 명목GDP / 실질GDP X 100
인플레이션
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상승하는 현상
인플레이션율
물가수준의 지표가 한 해와 이듬해 사이에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
[국민소득에 관한 추가지표]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로마오일 효능 · 사용법] 이럴때 아로마오일 쓰자! (1) | 2022.10.24 |
---|---|
파킹통장 추천 시중에 파킹통장 혜택 총정리 (1) | 2022.09.21 |
[경제학개론] 경쟁시장 (0) | 2022.04.27 |
[경제학개론] 여러가지 비용 개념 (1) | 2022.04.27 |
[경제학개론] 생산비용 (2) | 2022.04.27 |
최근댓글